《기울기 기울이기》는 서울문화재단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입주작가 여섯 팀의 예술 세계를 조명하는 기획전입니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서울문화재단과 예술의전당이 함께 주관하고, 효성이
후원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는 몇 개의 기울기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기울기 기울이기》는 셀 수 없이 많은 빛, 각기 다른 기울기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광대하고 어두운 우주에 나타나는
섬광을 떠올려 볼까요. 깊이를 가늠할 수 없을 만큼 깜깜한 공간에 길이도, 크기도, 방향도, 기울기도 모두 다른 빛의 선분들이 반짝이며 떠다닙니다. 무한의 공간 속에서 저마다의
속도로 회전하고, 움직이며 교차합니다. 하나의 기울기가 또 다른 기울기를 만나, 새로운 빛을 만들어 내는 장면입니다.
전시는 여섯 가지 기울기를 소개합니다. 여섯 기울기는 자신만의 밝기와 끊임없는 움직임을 가지고 2024년이라는 시점에 같은 지점을 통과합니다. 그렇게 지금 이곳에 함께 있지만,
이들은 모두 결코 장애라는 말로 단순히 규정되거나 뭉뚱그려질 수 없는 고유한 빛을 내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 기울기의 스펙트럼에 귀를 기울여 봅니다. 세상의 모든 존재들이 갖고
있는 고유한 기울기, 때로는 완만하게 때로는 가파르게, 누군가는 곧게 누군가는 둥글게 움직이며 서로 만나고 관계하는 기울기들 앞에서, 우리는 기울기라는 공통의 감각을 경험하게
됩니다.
여섯 작가는 자신만의 기울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것을 통해 세상을 바라봅니다. 다른 이들의 기울기와 만나고, 자신의 기울기에 다른 기울기를 더하기도 합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기울기를 기울이는 행위는 변화를 만들어 냅니다. 차이 혹은 불편이라는 조건은 관찰과 감각을 거쳐 외부 세계를 향한 관심으로 변이합니다. 그 결과 우리는 세계를 낯선 방식으로,
고정되지 않는 감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됩니다. 나의 기울기를 알아차리는 순간, 역설적으로 세상은 더 이상 기울어진 것이 아니게 될 것입니다. 자, 우리는 각자 어떤 기울기를 갖고
있을까요?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기울이게 될까요?
The Art of Tilting is a special exhibition that highlights the visions of six resident artist teams
at the Seoul Disability Arts. Like last year’s edition, this year’s exhibition is jointly organized
by the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nd the Seoul Arts Center with sponsorship from the
Hyosung Corporation.
How many tilts exist in the world we live in? Imagine flashes of light in a vast and dark universe.
Lines of light of varying length, size, direction, and angle shimmer and float this space so
unfathomably dark that it is impossible to estimate its depth. Within this infinite space, these
lights spin, move, and intersect at their own pace. The Art of Tilting tells the story of the
countless lights and their unique trajectories. It highlights the moment in which one meets another
to create a new light.
This exhibition introduces six specific lines. These six, each with its own brightness but all in
constant motion, intersect at the same point in time in 2024. Although they exist together in this
moment, they each emit a distinctive light that cannot be simply defined or generalized by the word
‘disability.’ We pay close attention to the spectrum of these lights. As we observe the unique
trajectories possessed by all beings in the world—sometimes gradual, sometimes steep, some moving
straight, others in a curve—we experience a common sensation.
Rather than chasing the sounds that so abruptly left her, Kim Eunjung, calls upon the other senses
she possesses. Her delicate, lightweight, and semi-transparent veils transmit rainbow-like
sensations to our skin. Kim Jinjoo dedicates hundreds of hours to tiny beings, such as a single
wildflower peeking out from the cracks in an asphalt roadside. With a pen gripped between her toes,
she draws the white glow of fragile yet resilient plants that flaunt their vitality. Laumkon (Lee Gi-eon and Song Ji-eun) creates mountains that cannot be conquered by mere feet. Linguistic
discomfort is overcome by landscapes conveyed through language, and a body incapable of climbing
mountains transforms into one that creates them. Bak Yuseok expresses the ever-changing experiences
of life and emotions through time using audiovisual images. His horizontal and vertical panels
appear strong and unwavering, yet the light flowing flexibly within the frame and the sound
surrounding the space reveals an inner dynamism that wavers and then subsides. Yoon Hagyoon uses
blurred ink to powerfully portray the gaze of monsters and the gaze directed toward them in return.
The simple, ordinary appearance of these monsters, far from the grotesque, represents the negative
emotions that live and move without suppression in everyday life. Hur Kyeom gazes down upon a
cityscape densely packed with buildings. By reconfiguring the once-clear landscape into a hazy,
ambiguous image on canvas, he emphasizes the dual emotions of comfort and unfamiliarity felt when
viewing the city.
These six artists listen closely to their own circumstances, view the world through them, meet
others’ trajectories, and add them to their own. This act of changing a given trajectory creates
impact. The conditions of difference or discomfort transform into a focus on an external world,
through observation and sensation. As a result, we are able to experience the world in unfamiliar
ways through fluid sensations. The moment we recognize our own tilt, paradoxically, the world will
no longer seem tilted. So, what kind of tilt do each of us possess? And how will we alter it?
“그것은 선명한 윤곽의 형상을 주조하는 장소가 아닌, 색채와 소리(의 감각)과 움직임을, 그러한 불일치의 형상들을 숨죽여 드러낸다. 집과 같은 건축도 아닌, 어떤 형상들을 떠받칠 받침대나 벽도 아닌, 수수께끼 같은 장소를 만들어, 그는 임의의 형상들을 그 내부로부터 출현시킨다. 기억, 은폐, 예언, 기대, 소망….”
― 안소연, 「모든 것은 결국 사랑에 대한 것이었다」(2024) 중에서.